[신화망 베이징 7월28일] 지난 상반기 중국 제조업 전반에 활력이 돌았다.
중국 규모 이상(연매출 2천만 위안 이상) 공업 부가가치는 전년 동기 대비 6.4% 증가했다. 3D 프린팅 장비, 신에너지차, 산업용 로봇 제품의 생산량은 각각 43.1%, 36.2%, 35.6% 늘어 활발한 데이터를 보였다.
중국 아트토이 브랜드 팝마트의 봉제인형 라부부가 세계적으로 인기를 끌고, 사용자는 휴대전화에서 클릭 한 번으로 신에너지차 색상을 선택해 공장에 맞춤형으로 전달된다. 창의적인 디자인이 접목되면서 중국의 스마트 제조가 한 단계 올라섰다는 평가다.
◇창의적 디자인으로 브랜드 가치 향상
지난달 중국 금 전문 기업인 라오푸골드(老鋪黃金)의 해외 1호점이 싱가포르에 문을 열었다. 모건스탠리 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매장에는 방문객이 밀려들면서 평균 대기 시간은 1~3시간에 달했다. 제품의 디자인, 공정 등 요소가 방문객의 마음을 사로잡은 것으로 나타났다.
브랜드 설립 16년 차를 맞은 라오푸골드는 전통 주얼리 시장에서 새로운 길을 개척하고 있다. 지난해 매출과 이익은 전년 대비 각각 166%, 254% 증가했으며 올 상반기에도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라부부도 난리다. 미국 로스앤젤레스 비버리센터에서 라부부를 구매하려는 수백 명의 젊은이들이 새벽 2시부터 줄을 서고 있다.
라부부를 만든 팝마트 관계자는 "디자인이 핵심 경쟁력"이라고 말했다. 팝마트 디자이너팀에선 약 2천여 명이 근무하고 있다. 라부부의 설계도부터 3D 모델링, 고무 소재의 얼굴과 부드러운 촉감을 구현하는 생산 공정 등 모든 단계에 장인 정신이 깃들어 있다고 회사 관계자는 전했다.

우인(吳垠) 시난(西南)재경대학 경제학원 교수는 디지털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면서 중국 문화의 디자인 요소를 산업화 생산에 잘 접목시켜 중국 제조업의 브랜드 가치를 꾸준히 높이고 있다고 말했다.
◇혁신적 디자인으로 스마트 제조 실현
최근 막을 내린 '제3회 중국국제공급사슬엑스포(CISCE)'에서는 휴머노이드 로봇부터 산업용 로봇팔, 수직이착륙 드론에서부터 생체모방 로봇 핸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스마트 제조 신제품이 대거 공개됐다. 신선한 아이디어 속에서 산업 디자인의 혁신 역량이 뚜렷하게 드러났다.
관빙(關兵) 중국 공업정보화부(공신부) 싸이디(賽迪)연구원 공업경제연구소 소장은 산업 디자인이 제품, 공정, 비즈니스 모델 설계 등을 통해 제조업 전 산업사슬에 유기적으로 융합되어 제조업의 전환 및 업그레이드를 촉진한다고 말했다.
새로운 디자인과 이념이 생산라인에 전례 없는 변화를 가져왔다.
샤오미 자동차 생산라인에서는 76초마다 SU7 신차가 만들어진다. 샤오미는 자동차 공장에 700대 이상 로봇을 도입해 대형 다이캐스트, 스탬핑, 차체 연결, 전체 조립 등 핵심 공정 자동화 100%를 실현했다. 일체형 다이캐스트 공정은 72개 부품을 1개로 단순화시켜 조업시간을 74% 단축시켰다.
올 상반기 중국은 '인공지능(AI)+' 전략을 가속화했다. 공신부에 따르면 제조업 중점 산업에 파운데이션 모델의 도입과 배치를 추진했다. 중국 여러 기업이 '세계 최초' 수준의 핵심 제품을 출시했으며 중국산 AI 스마트폰, 컴퓨터 등 AI 단말기는 100종을 넘어섰다.
우수한 산업 디자인과 참신한 프런티어 기술이 더해지면서 중국 제조업은 디지털화∙스마트화∙첨단화로 빠르게 나아가고 있으며 산업∙공급사슬의 경쟁력을 높이고 있다는 평가다.

◇디자인 혁신으로 산업 변화 선도
"'둔황페이톈(敦煌飛天)' 스타일의 자동차 인테리어 만들어줘, 리본과 연꽃 문양 등 요소를 포함해줘." 아얼터(阿爾特)자동차의 장예(張野) 디자이너가 컴퓨터에 명령을 내리자 30초 만에 화면에는 리본 모양의 차량 대시보드 디자인과 연꽃 문양의 시트 스티치 디자인이 나타났다.
올 3월 아얼터자동차는 창의적 탐색과 초안 작성 등 다양한 기능을 통합한 수직형 AI 창작 도구 'TAI'를 출시했다. 회사 기술 책임자인 리창(李强)은 AI 비서를 통해 디자이너의 디자인 속도와 효율이 50% 향상됐다고 말했다.
급속히 진행되는 산업 변화 속에서 디자인 혁신의 역할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 디자인을 통해 제품의 정서적 가치와 문화적 함의를 높여 차별화된 경쟁이 가능하다. 중국의 발 빨라진 스마트 행보에 주목해야 할 이유다.
원문 출처:신화통신 한국어 뉴스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