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화망 베이징 7월29일] 중국 과학기술부가 과학기술 성과 전환에 속도를 내겠다고 밝혔다.
친하오위안(秦浩源) 과기부 7사(司) 부사장(부국장)은 28일 신화통신이 마련한 대형 옴니미디어 인터뷰 프로그램인 '중국경제원탁회의'에서 "과학기술 혁신과 산업 혁신의 융합을 위해 과학기술 혁신 성과를 적시에 전환해 구체적인 산업과 산업망에 응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현재 과학기술 성과 전환의 걸림돌로 ▷대학 연구기관의 수준 높은 과학기술 성과 창출 및 전환에 따른 인센티브 부족 ▷직무 관련 과학기술 성과에 대한 국유자산 관리 모델과 과학기술 성과 전환 규정의 부조화 등을 꼽았다.
이에 성과 전환의 '라스트 마일'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 수년간 과기부는 과학기술 성과 전환 메커니즘을 지속적으로 개선했다.
지난 3년간 40개 기관의 연구원에게 4천 건 이상 성과에 대한 권한이 부여됐다. 권한 이전, 허가, 가치 투자 등 세 가지 방식으로 진행된 과학기술 성과 전환 계약 금액은 누적 120억 위안(약 2조3천160억원)을 넘어섰다. 시범 사업 전인 3년 전과 비교해 126% 증가한 수준이다. 아울러 28개 성(省)의 약 700개 기관이 성급 권한 부여 시범 사업을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상 개발된 과학기술이 성과로 전환돼 형성된 자산을 단독으로 관리하는 제도도 개선됐다. 해당 시범 사업은 이미 상하이, 저장(浙江)성, 산시(陝西)성 등 17개 지역에서 진행됐다. 이 가운데 10개 지역이 이러한 성격을 지닌 국유 지분을 국유자산 가치 보호∙증식 관리 범위에 포함하지 않겠다고 발표했다.
친 부사장은 향후 과기부가 재산권 인센티브로 연구진의 성과 전환 적극성을 독려하고 성과 전환에 부적합한 국유자산 관리 규제를 없애는 등 과학기술 성과 전환 메커니즘 개혁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원문 출처:신화통신 한국어 뉴스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