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인 인기 과일 '두리안', 中 하이난서 직접 재배한다-Xinhua

중국인 인기 과일 '두리안', 中 하이난서 직접 재배한다

출처:신화망 한국어판

2024-07-03 08:39:26

편집: 陈畅

[신화망 하이커우 7월3일]

최근 하이난(海南)성 싼야(三亞), 바오팅(保亭), 우즈산(五指山), 러둥(樂東) 등지에서 두리안 열매가 익어가고 있다.

"60~70% 정도 익었을 때 수확한 다음 운송하는 과정에서 후숙하는 수입 두리안보다 중국산 두리안의 당도가 높고 향이 풍부하며 맛이 훨씬 부드럽습니다." 줘빈(卓斌) 바오팅즈눙(智農)농업발전회사 사장은 바오팅 두리안의 시장 가격은 근당 60위안(약 1만1천원) 이상으로 여전히 공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하이난(海南)성 바오팅(保亭)에서 수확한 두리안. (사진/신화통신)

"지난해 나무에서 숙성시킨 저희 회사 첫 두리안이 사람들의 인정을 받은 데 이어, 올해는 두리안이 채 익기도 전에 전량 예약 제안이 들어왔습니다." 하이난성 두리안협회 회장이자 하이난유치(優旗)농업회사 사장인 두바이중(杜百忠)의 말이다.

중국은 두리안 재배를 오랫동안 탐구해 왔다. 바오팅 치셴링(七仙嶺)글로벌열대과일박람센터에는 높이 약 15m, 수령 66세의 두리안 나무가 있다. 가지와 잎이 무성한 이 나무는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두리안 나무다. 두리안 나무는 타가수분을 해야 하는데 자연 조건에서 꽃가루가 나무 위까지 올라오기 어렵고 또 주변에 다른 두리안 나무가 없어 수년 동안 열매를 맺지 못했다. 

그러나 최근 수년간 인공수분, 꽃·열매 보존을 통해 성공적으로 두리안 열매를 맺을 수 있었다.

수령 66년 된 두리안 나무. (사진/신화통신)

2018년 이후 정부와 과학연구 기관이 손 잡고 중국 두리안 산업 발전을 촉진했다. 이후 산업 발전이 가속화되면서 시장 열기도 고조되고 있다.

중국 해관총서(관세청)의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의 두리안 수입량은 전년 대비 70% 증가한 142만6천t(톤)으로 집계됐다.

시장 수요가 점차 커지자 두리안 재배 농가도 늘기 시작했다.

저우자오시(周兆禧) 중국 열대농업과학원 부연구원은 두리안 생산 기술 규정을 제정해 농민들에게 널리 보급했다며 "보급 과정에서 새로운 문제가 발견되면 그 문제를 다시 연구한 후 결과를 보급해 선순환을 형성했다"고 소개했다.

저우자오시(周兆禧) 중국 열대농업과학원 부연구원이 바오팅의 두리안 과수원에서 기술 지도를 하고 있다. (사진/신화통신)

산업 발전의 필요에 따라 중국 열대농업과학원, 하이난성 농업과학원, 하이난대학 등 과학연구 기관 및 대학은 품종 선택, 재배 관리, 병충해 방제, 수확 후 처리 기술 등 두리안 전체 사슬을 포괄하는 다양한 두리안 관련 기술팀을 조직했다.

펑쉐제(馮學傑) 하이난농업과학원 열대과수연구소 소장은 하이난 두리안의 재배 면적이 꾸준히 확대되고 남쪽에서 북쪽으로 점차 영역이 확산되며 생산량과 과일 품질이 점점 향상되고 있다고 소개했다.

바오팅의 두리안 모수(母樹)는 수십 년의 생장 기간 동안 내풍성∙내항성이 뛰어난 특징을 지녔다. 이에 연구진은 이를 활용한 두리안의 새로운 품종 육종에 매진하고 있다.

중국 내 두리안의 재배 면적과 생산량이 해마다 증가하고 있지만 중국 소비 물량 전체를 국산으로 대체하기는 어려울 전망이다.

업계 전문가들은 두리안이 대표적인 열대작물이며 중국은 태국, 말레이시아 등 국가에 비해 두리안의 적절한 재배지가 한정적이기 때문에 국산 두리안의 양적 발전은 어렵다고 분석했다.

저우자오시는 '양'보다 '품질'을 추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소비 열풍에 휩쓸려 맹목적인 확장을 지양하고 외국 기술 및 발전 모델을 모방해야 한다"며 "품질 우선을 고수해 소비자들이 해외에 나가지 않고도 양질의 두리안을 맛볼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원문 출처:신화통신 한국어 뉴스 서비스

기사 오류를 발견시 하기 연락처로 의견을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전화:0086-10-8805-0795

이메일:xinhuakorea@126.com